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향상시킬 ‘히든카드’ 발견 게시판 상세보기
제목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향상시킬 ‘히든카드’ 발견
보도일 2019-10-31 12:00 조회 894
연구단명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
보도자료 hwp 파일명 : 191031_[IBS 보도자료]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향상시킬 '히든카드' 발견(다차원 탄소재료  JACS).hwp 191031_[IBS 보도자료]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향상시킬 '히든카드' 발견(다차원 탄소재료 JACS).hwp
첨부 zip 파일명 : 191031_[IBS] 그림 및 사진.zip 191031_[IBS] 그림 및 사진.zip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향상시킬 ‘히든카드’ 발견

- IBS 연구진, 금속유기구조체(MOF)의 전도성 향상 메커니즘 규명 -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소재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대행 김영덕)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단장 로드니 루오프) 연구진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슈퍼커패시터용 전극물질로 각광받는 금속유기구조체1)(MOF)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자성과 전도성을 동시에 지닌 새로운 소재(NiTAA-MOF)를 개발했다.

전자기기의 성능 향상과 함께 높은 출력을 낼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MOF는 슈퍼커패시터, 2차 전지 등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전극 소재로 주목받는다. MOF는 금속과 탄소 물질(유기물)이 결합해 이룬 다공성 소재다. 이를 전극으로 사용할 경우 넓은 표면적에서 산화-환원 반응을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 저장능력 및 성능을 갖는 에너지 소자를 만들기 유리하다.

MOF 기반 에너지 소자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MOF의 전기적 성질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하지만 MOF의 어떤 구조적·화학적 변화가 전기 전도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

MOF의 전기전도성을 높일 ‘히든카드’를 찾아내기 위해 연구진은 우선 거대한 고리 형태의 새로운 금속유기구조체를 설계했다. 니켈(Ⅱ)테트라[14]아자아눌렌-금속유기구조체(NiTAA-MOF)는 니켈 원자 주변에 4개의 질소 원자가 결합한 MN4(M=금속, N=질소) 유형의 기본 구조를 갖는다. NiTAA는 전기전도성을 가진 물질로 촉매, 트랜지스터, 염료감응태양전지 등에 사용되지만, 금속유기구조체의 연결체로 사용된 적은 없다.

연구진이 설계한 덩어리(벌크) 형태의 NiTAA-MOF는 기본적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절연) 상태이다. 하지만 요오드 증기를 이용해 80도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진행하며 NiTAA-MOF를 화학적으로 산화시키면 300K(26.85℃)의 온도에서 0.01S/㎠(지멘스 퍼 제곱센티미터)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낸다. 이는 별도의 전도체를 첨가할 필요 없이 전극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히 높은 전기전도도다.

유정우 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리간드 산화2)에 의해서 부도체였던 2차원 금속유기구조체에 전기 전도성이 유도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며 “더 나아가 리간드 산화에 따라 MOF의 스핀 농도를 증가시켜 자성을 구현할 수 있음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로드니 루오프 단장은 “2차원 금속유기구조체의 구조와 전기적 특성 간의 관계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제시한 것으로, 새로운 전기전도성 금속유기구조체를 개발할 수 있는 길을 제시했다”며 “합성된 NiTAA-MOF는 에너지 소자뿐만 아니라 촉매, 센서 등 다양한 광전자공학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JACS, IF 14.695)’10월 14일자 온라인 속보로 실렸다.

그림설명


그림 1. 연구진이 개발한 새로운 금속유기구조체(NiTAA-MOF) 구조

▲ 그림 1. 연구진이 개발한 새로운 금속유기구조체(NiTAA-MOF) 구조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은 요오드 도핑에 의한 부분적 산화를 통해 전기전도성 및 상자성을 갖는 NiTAA-MOF를 개발했다.

그림 2.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 그림 2.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 사진합성한 NiTAA-MOF를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 우측 하단의 흰 막대는 20nm를 나타낸다.

그림 3. 요오드 도핑된 NiTAA-MOF 펠렛

▲ 그림 3. 요오드 도핑된 NiTAA-MOF 펠렛직경 약 1.5cm의 요오도 도핑된 NiTAA-MOF 펠렛(디스크 형태)의 모습

그림 4. 요오드 도핑된 NiTAA-MOF의 전기전도성 및 자성 특성

▲ 그림 4. 요오드 도핑된 NiTAA-MOF의 전기전도성 및 자성 특성(a)5K에서 310K까지의 온도에 따른 전기 전도도 변화. (b) 180K에서 250K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log(σ) 대 T–1/4 플롯. (c)다양한 온도에서 측정된 NiTAA-MOF의 자기장 의존 자기 곡선. (d) 반강자성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자화의 온도 의존성.

그림 5. NiTAA-MOF의 적층 구조 및 전자 밴드 구조

▲ 그림 5. NiTAA-MOF의 적층 구조 및 전자 밴드 구조합성한 NiTAA-MOF를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 우측 하단의 흰 막대는 20nm를 나타낸다.

1) 금속유기구조체(Metal Organic Framework·MOF) : 금속(M, metal)과 유기물(O, organic)을 결합시켜 만든 신소재로 내부에 기공이 많아 표면적이 넓다는 특징이 있다. 금속과 어떤 유기물을 연결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특성을 갖도록 만들 수 있다. 대기 중 오염물질 제거, 분리막,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2) 리간드산화 : 요오드 이온을 도핑하게 되면 NiTAA-MOF의 리간드 부분(그림1의 파란색 부분)에서 산화반응이 일어나 라디칼이 형성된다.

  • [이웃집과학자]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향상 '히든카드'
  • [헬로티] IBS, 에너지저장장치 성능 높일 신소재 개발
  • [연합뉴스] 기초과학연구원, ESS 성능 높일 메커니즘 규명해 신소재 개발
  • [뉴스1] IBS,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ESS) 성능 향상 신소재 개발
  • [아시아경제]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향상 '히든카드' 발견
  • [머니투데이]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향상시킬 新소재 개발
  • [서울경제] IBS-UNIST,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향상 신소재 개발
  • [이데일리] 국내 연구진,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향상시킬 신소재 발견
  • [한국일보] 에너지 저장장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향상시킬 ‘신소재’ 개발치 성능 향상시킬 ‘신소재’ 개발
  • [녹색경제신문] [과학을 품다] ESS 성능 높이는 신소재 나왔다
  • [헤럴드경제]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높이는 신소재 개발
  • [뉴스웍스]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향상시킬 신소재 발견
  • [동아사이언스] ESS 성능 끌어올릴 새 소재
  • [대전일보]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 향상시킬 신소재 발견
  • [금강일보] [사이언스톡톡] 에너지 저장장치 신소재 개발
  • [헬로디디] 금속 신소재 설계···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전극으로
  • [울산매일신문] UNIST·IBS연구진, ESS 성능 높일 메커니즘 규명해 신소재 개발
  • [경상일보] UNIST,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성능향상 신소재 개발
  •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커뮤니케이션팀 : 권예슬   042-878-8237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