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빛으로 단백질 군집 속도 10배 높여 게시판 상세보기
제목 빛으로 단백질 군집 속도 10배 높여
보도일 2017-06-23 18:00 조회 3941
연구단명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보도자료 hwp 파일명 : [IBS_보도자료] 빛으로 단백질 군집 속도 10배 높여(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Nature Communications).hwp [IBS_보도자료] 빛으로 단백질 군집 속도 10배 높여(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Nature Communications).hwp
첨부 zip 파일명 : 그림 및 사진설명.zip 그림 및 사진설명.zip

빛으로 단백질 군집 속도 10배 높여

- 청색광 수용 단백질 변형한 '크립토크롬2 클러스트'… 단백질 기능 업그레이드 -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김두철)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허원도 그룹리더 연구팀은 청색광 수용 단백질인 크립토크롬2(Cryptochrome2)1)를 변형한 크립토크롬2 클러스트(CRY2clust)를 개발, 기존에 비해 약 10배 더 빠른 반응속도로 단백질 군집을 형성하는 데 성공했다.

세포막 단백질이나 신호전달 단백질, 효소 등 많은 단백질은 자신들끼리 서로 군집을 이룰 때 제 기능이 활성화된다. 그 동안 화학물질을 이용해 단백질 군집 형성을 유도하려는 노력이 이뤄져왔으나 부작용과 시간적 제약 등 한계가 있었다. 광유전학 분야 연구자들은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빛을 이용해 단백질 군집을 형성하고자 식물의 청색광 수용 단백질인 크립토크롬2를 활용해왔다.

IBS 연구진은 크립토크롬2의 일부 구조를 변형해 기존 크립토크롬2를 활용한 광유전학 기술보다 단백질 군집을 더 빠르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크립토크롬2의 단백질 사슬 C말단(C-terminal)2)에 특이적인 9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매우 짧은 펩티드(Peptide)3)를 부착하자, 일반 크립토크롬2보다 빛에 10배 이상 더 빠르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관찰한 것이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기존 기술과 차별화하기 위해 CRY2clust라 이름 붙였다.

연구팀은 과거 자체 개발한 광유전학 기술에 CRY2clust를 접목해 CRY2을 이용한 기존 시스템과의 단백질 활성 효율의 차이를 확인했다. CRY2clust를 사용하면, 빛으로 세포막의 칼슘이온채널을 훨씬 빠르게 끄고 켜거나(광유도 칼슘이온채널 활성 시스템 ; OptoSTIM1), 신경세포의 분화를 더욱 효율적으로 조절(광유도 신경성장인자 수용체 활성 시스템 ; OptoTrkB)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더 나아가 실험실에서 단백질 군집 형성에 주로 활용하는 여러 형광단백질(Fluorescent protein)4)과 크립토크롬2를 짝지어 결합해봄으로써, 빛을 이용해 단백질 군집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 조합의 조건을 찾았다. 형광단백질이 하나보다는 여러 개가 결합한 형태일수록(즉 단량체5)보다는 이합체나 사량체일때) 빛을 비추었을 때 광유도 클러스트를 더욱 높은 비율로 형성했다. 또한, 형광단백질을 크립토크롬2의 단백질 사슬 말단 중 N말단이 아닌 C말단에 붙이는 경우 광유도 클러스트 형성 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단백질 군집이 잘 형성되는 조건을 찾았다는 점에서, 연구자의 실험 선택의 폭을 넓혀준 데 의의가 있다.

실험진은 CRY2clust를 개발해 빛을 이용한 단백질의 활성을 훨씬 효율적으로 유도하는데 성공했다. 허원도 그룹리더는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CRY2clust는 향후 광유전학 분야의 실험에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라며, "다양한 형광단백질-CRY2 조합을 통해 찾은 단백질 군집 형성 성공 요인은 광유전학 시스템 개발에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본 연구결과는 네이처(Nature) 출판 그룹이 발간하는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12.124)에 미국시간으로 6월 23일자에 게재됐다.


▲ [그림 1] 기존 크립토크롬2 대비 CRY2clust의 단백질 군집 형성 속도 청색광을 쬐어 주었을 때 새롭게 개발한 CRY2clust는 기존의 크립토크롬2(CRY2)에 비해 초반 매우 빠른 속도로 단백질 군집을 형성한다. 오른쪽 그래프는 CRY2/CRY2clust의 뚜렷한 단백질 군집 형성 비율 차이를 보여준다.


▲ [그림 2] CRY2clust 시스템을 적용한 광유도 단백질 기능 조절 광유도 칼슘 이온 채널 활성 시스템(OptoSTIM1, 왼쪽)과 광유도 신경성장인자 수용체 활성 시스템 (OptoTrkB, 오른쪽)에 CRY2clust 시스템을 적용하면, 기존 크립토크롬2(CRY2)를 이용했을 때보다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단백질이 활성화된 것을 확인했다. CRY2clust를 이용했을 때, CRY2를 적용한 경우보다 칼슘 이온 채널이 더 빠르게 열리고 신경성장인자 수용체의 활성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그림 3] 형광단백질을 이용한 다양한 단백질 군집 형성 (왼쪽) 구조는 비슷하나 서로 다양한 동형단백질 결합상태를 가지는 형광단백질들 목록.
(오른쪽) 다양한 형광단백질들이 융합된 크립토크롬2의 광유도 단백질 군집 형성 성질을 비교한 것이다. 형광단백질의 결합상태에 따라 크립토크롬2의 광유도 단백질 군집 형성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형광단백질이 하나보다는 여러 개가 결합한 형태일수록(단량체보다는 이합체나 사량체일때), 빛을 비추었을 때 광유도 단백질 군집을 더욱 높은 비율로 형성했다.


▲ [그림 4] 크립토크롬2-형광단백질 결합 위치에 따라 단백질 군집 형성비율 비교 형광단백질이 크립토크롬2의 어느 위치에 결합하는가에 따라 단백질 군집의 형성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그래프에서 검은색은 형광단백질을 크립토크롬2의 단백질 사슬 말단 중 C말단에 붙인 것이고, 회색은 N말단에 붙인 것이다. 비교 결과, EYFP, mCitrine, Ypet형광단백질이 CRY2의 C-말단에 융합됐을 때 CRY2의 군집 형성 효율이 좋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1) 크립토크롬2(Cryptochrome2): 식물은 광합성을 위해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데, 크립토크롬2는 애기장대 식물에 있는 청색광 수용 단백질이다.

2) C-terminal/N-terminal: 단백질이나 폴레펩티드는 복수의 아미노산이 서로 아미노기와 카복시기로 펩티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어, 그 한쪽 끝에 아미노기(-NH2), 다른 쪽 끝에 카복시기(-COOH)말단을 갖는다. 유리아미노기를 갖는 쪽을 N말단, 유리카복시기를 갖는 쪽을 C말단이라고 부른다.

3) 펩티드(Peptide): 아미노산이 한쪽 아미노산의 카복시기(-COOH)와 다음 아미노산의 아미노기(-NH2) 사이에서 물이 떨어져 나가고 차례로 연결해 사슬모양을 이룬채 화학결합한 것을 말하며 이 결합을 펩타이드 결합이라 한다. 폴리펩타이드는 이러한 아미노산 수천 개가 하나로 모여 있는 것이다.

4) 형광단백질(Fluorescent protein): 1961년 시모무라 오사무 박사가 해파리가 빛을 내는 이유를 관찰하던 중 자외선이나 청색빛이 닿으면 녹색빛을 만들어내는 녹색형광단백질을 발견했다. 이 형광단백질의 유전자를 복제한 뒤 생명체에 넣고 빛을 주면, 유전자가 발현되는 부분이 녹색형광을 띠게 된다. 이후 많은 단백질 공학자들에 의해 녹색형광단백질(GFP)과 산호초에서 분리한 적색형광단백질로부터 다양한 형광단백질들이 만들어졌다. 기존에 많은 형광단백질이 이합체나 사량체로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어, 이번 연구에서 크립토크롬2에 형광단백질을 붙여 광유도 클러스트 형성을 관찰했다.

5) 단량체/이합체/사량체(monomer/dimer/tetramer): 단량체는 중합반응에 의해서 중합체를 합성할 때의 출발물질을 가리킨다. 이합체란 단량체 두 개가 수소결합 등의 힘에 의해 마치 한 분자처럼 결합하고 있는 것을 뜻한다. 사량체는 중합하기 쉬운 성질이 있는 저분자량의 화합물이 4분자 결합한 생성물로서, 원래의 4배의 분자량을 갖는 화합물을 말한다.

  • [메디컬투데이] IBS, 기존보다 10배 빠른 단백질 군집 형성 기술 개발
  • [서울경제] 빛으로 단백질 군집 속도 10배 높였다
  • [헬로디디] 빛으로 단백질 군집 속도 10배 높였다
  • [연합뉴스] 국내서 '단백질 군집 형성 신기술' 개발…기존보다 10배 빨라
  • [동아사이언스] 빛을 이용한 단백질 활성화 속도 10배 높였다
  •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커뮤니케이션팀 : 권예슬   042-878-8237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