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요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IBS Conferences
식물의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게시판 상세보기
제목 식물의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보도일 2016-12-07 02:00 조회 4424
연구단명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
보도자료 hwp 파일명 : [IBS_보도자료] 식물의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_식물 노화수명 연구단(Cell Reports).hwp [IBS_보도자료] 식물의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_식물 노화수명 연구단(Cell Reports).hwp
첨부 zip 파일명 : 그림 및 사진설명.zip 그림 및 사진설명.zip

식물의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 'GLR단백질 칼슘채널' 활성화원리, 전기·생리학적 방법으로 규명 -

식물은 잎 표면에 미세한 구멍인 기공을 평방센티미터(1㎠)당 수 만개씩 갖고 있다. 식물은 기공을 통해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식물 체내로 받아들이고, 광합성 부산물인 산소와 물을 대기 중으로 내보낸다. 기공은 식물이 숨을 쉬는 '코'인 셈이다.

기공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세포 메커니즘은 식물의 생존과 생장에 필수적인데, 특히 칼슘이 중요한 작용 인자로 알려져 있다. 세포 내 칼슘이온은 동식물 세포 모두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신호전달 물질로, 공변세포(한 쌍이 마주 붙어 기공을 이루는 세포) 내 칼슘이온(Ca2+) 농도는 특히 기공을 닫는데 관여해, 식물의 수분 유출을 막는다. 그러나 공변세포 내 칼슘이온의 통로인 칼슘채널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를 통해 규명된 사실이 많지 않은 상황이다.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기초과학연구원(IBS)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단장 남홍길) 곽준명 그룹리더(DGIST 뉴바이올로지 교수) 연구진은 모델식물인 애기장대를 이용해 공변세포에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GLR3.1/GLR3.51) 칼슘채널'을 처음 발견하고, 특정 아미노산이 이 칼슘채널을 활성화해 세포내로 칼슘이온을 유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을 전기․생리학적 방법으로 입증했다.

공변세포는 빛‧수분‧이산화탄소‧온도‧흔들림 등 다양한 환경조건에 반응해 기공을 열고 닫는 역할을 수행한다. 공변세포 세포막에 존재하는 칼슘채널이 열려 칼슘이온(Ca2+)이 공변세포 안으로 들어오면 일련의 세포신호 반응을 거쳐 세포 내 삼투압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공변세포 속 수분이 밖으로 빠져나가 부피가 줄어 기공이 닫히는 원리다.

연구진은 GLR 단백질로 이루어져있을 것이라 추정됐던 새로운 칼슘채널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20가지 종류의 아미노산을 애기장대 잎에 모두 처리했다. 그 결과, L형 메티오닌(L-Methionine) 아미노산이 GLR3.1과 GLR3.5 단백질로 이루어진 칼슘채널과 반응함을 확인했다. GLR3.1/GLR3.5 유전자가 정상인 공변세포와 두 단백질의 해당 유전자를 결여시킨 돌연변이체 공변세포를 만들어 각각 L-메티오닌을 처리하고 관찰한 결과, 정상 공변세포에서는 칼슘이 이동하면서 생기는 전류가 세포막에 흐르는 것을 확인한 반면, 두 유전자가 결여된 돌연변이체 공변세포에서는 칼슘의 이동에 따른 전류가 검출되지 않음을 밝혔다. 이로써, L-메티오닌이 GLR단백질로 이루어진 칼슘채널을 열리게 하여 세포 내로 칼슘이온을 유입하게 함을 증명한 것이다.

또한, 연구진은 이 유전자들이 결여된 애기장대 식물에서 과일이나 채소에서 칼슘이 부족하여 생기는 배꼽썩음병2) 증상과 유사하게, 꽃대의 말단에 칼슘 부족에 의한 세포괴사가 일어난 것을 관찰했다. 즉, GLR3.1/GLR3.5 칼슘채널은 기공개폐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세포분열이 왕성한 조직에 칼슘을 제공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GLR3.1/GLR3.5 단백질 칼슘채널이 식물세포 내 적절한 칼슘 농도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기공개폐를 조절하고,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셀 (Cell) 자매지인 '셀 리포츠 (Cell Reports, IF 7.870)' 에 12월 6일(미국 동부 시간) 게재됐다.


▲ LR3.1/GLR3.5 유전자가 세포 내 칼슘 및 식물발달에 미치는 영향


▲ GLR3.1/GLR3.5 칼슘채널이 세포 내 칼슘 및 식물발달에 미치는 영향

1) GLR단백질(GLR3.1/GLR3.5): 아미노산 중 하나인 글루탐산(glutamate)은 동물의 중추신경계에서 중심적인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는데, 이들의 수용체 중 하나인 글루탐산 수용체(Glutamate receptor)는 일종의 이온 채널로 글루탐산에 의해 채널이 열려 양이온(Ca2+, Na+, K+)들을 통과시키게 된다. 식물은 동물과 같은 중추신경계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동물의 Glutamate receptor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단백질들을 가지고 있어 'GLR'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단백질의 역할에 대해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 배꼽썩음병 (Blossom end rot) : 배꼽썩음병은 과실에서 꽃이 달려있던 부위가 썩기 시작해 암갈색으로 변하고 쭈그러드는 병의 일종으로 칼슘결핍이 그 원인이다. 칼슘은 식물체 내 다른 기관으로의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과실 벽에 칼슘이 결핍되기 쉬우며 그 결과 배꼽썩이 과실이 발생하게 된다.

  • [영남매일] DGIST, 식물기공 움직임 조절 새 단백질 ‘발견’
  • [베타뉴스] DGIST, 식물의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 [대학저널] DGIST, 식물의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 [대구신문] 식물 기공 움직임 조절 새 단백질 발견
  • [헬로디디] 식물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 [대구일보] 식물의 기공 조절하는 새 단백질 발견
  • [경북도민일보] 식물 기공 움직임 조절 단백질 발견
  • [경북매일] `식물 기공조절` 새로운 단백질 발견
  • [사이언스타임즈] 식물의 기공 열고 닫는 단백질 발견
  • [YTN사이언스] 식물의 기공 열고 닫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 [아시아뉴스통신] DGIST 곽준명 교수팀, 식물의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 [베리타스알파] DGIST, 식물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 [아주경제] DGIST 연구팀, GLR 단백질 칼슘채널 활성화 원리 규명
  • [뉴시스] IBS, 식물의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 [일간스포츠] IBS, 식물의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 [동아사이언스] 식물이 숨쉬는 과학적 원리 찾았다
  • [미주중앙일보] IBS, 식물의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 [대전일보] IBS, 식물의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새로운 칼슘채널 발견
  • [매일경제] 식물의 기공 열고 닫는 세포 속 새로운 단백질 발견
  • [디지털타임스] 식물 잎의 기공 개폐 조절하는 새 단백질 규명
  • [뉴스1] 식물의 미세한 구멍(기공) 움직임 조절 新 단백질 발견
  • [연합뉴스] 식물의 기공 열고 닫는 세포 속 새로운 단백질 발견
  • [서울신문] [달콤한 사이언스] '식물의 코' 기공 조절하는 단백질 국내 연구진 발견
  • [중도일보] 식물의 코 ‘기공’ 움직임 조절하는 단백질 발견
  •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담당자
    커뮤니케이션팀 : 권예슬   042-878-8237
    최종수정일 2023-11-28 14:20